서울시, ‘모아타운 대학협력 프로젝트’ 12개 대학 연구성과 공유

0
35

□ 새로운 저층주거지 정비방식인 ‘모아타운’의 디자인 아이디어및발전모델 발굴을 위해 서울시가 올해 처음 시도한 ‘대학협력 프로젝트’가소정의 결실을 맺고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연구해 낸 참신한아이디어를 드디어 공개한다.

□ 서울시는 8.25.(금) 서울시청 신청사(8층 다목적홀)에서‘모아주택・모아타운 대학협력 프로젝트 성과공유회’를 개최한다고밝혔다.시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아이디어를 모형과 패널로제작,8.25.(금)~9.22.(금) 신청사 1층에 전시한다.

○ ‘모아주택․모아타운’의 사업 발전 모델과 아이디어를 발굴하기위해 시작된 ‘모아타운(모아주택) 대학협력 수업연계 프로젝트’는지난해 12월 참여대학 공모를 시작, 올해 초 12개 대학(원)을선정하고 1학기 수업과 연계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.

○ 선정된 대학은 올해 1학기에 프로젝트 수업을 개설, 교수와학생이 ‘모아타운’ 관련 주제를 수학․연구하여 디자인 아이디어, 정비모델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시는 지난 2월 선정된대학(원)별로 최대 1,000만원의 실행비를 지원했다.

□ 올해 처음 시도된 ‘모아주택・모아타운 대학협력 프로젝트’에는서울포함 전국 소재 12개 대학(원), 62개 팀(105명)이 참여했으며서울 시내 ▴고도지구 ▴자연경관지구 ▴역사문화환경보존지구(지역)등 도시계획적 규제로 사업 여건이 불리한 지역을 발굴한 뒤에대상지에 적합한 모아타운 계획(안)을 도출하는 과제가 주어졌다.

□ 25일(금) 열리는 성과공유회에서는 대학별 대표 1개 팀이 프로젝트결과를 발표,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평가하여부문별(학부・대학원) 대상 1개 팀, 최우수상 2개 팀, 우수상 6개팀을선정하여 시상한다. 또 우수발표 1개 팀을 별도로 선정하는 현장투표도 이뤄질 예정이며, 참여교수 감사장 전달도 함께 진행된다.

○ 대상(총 2개 팀) 및 최우수상(총 4개 팀)은 정책 이해도, 창의성,
실현가능성, 작품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현장에서 선정결과를 발표한다.

○ 또한, 대상 또는 최우수상 수상팀을 제외하고 참여교수로부터각대학(원)에서 우수한 모아타운 계획(안)을 마련한 학생(팀)을추천받아 우수상(총 12개 팀)을 시상할 예정이다.

□ 성과보고회에는 ▴동대문구 이문동 대학가 주변 청년을 위한새로운주거 패러다임 제안(가천대) ▴중구 회현동 고도제한지역 남촌의지역자원을 활용한 정비 제안(서울시립대) ▴관악구 서림동 산업시설과 주거공간의 공존 제안(숭실대) ▴서대문구 영천시장 일대세대를통합하고 지역을 되살리는 복합주거 플랫폼 제안(한국교통대) 등의발표가 예정되어 있다.

□ 서울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소재 건축․도시공학 등관련학과뿐 아니라 전국 대학에서도 ‘모아주택・모아타운’에 큰관심을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.

○ 서울 외 지역에서 참여한 대학은 한국교통대(충북 충주시), 가천대(경기 성남시), 한남대(대전 대덕구), 인천대(인천 연수구), 이렇게 네 곳이다.

□ 또 일부 대학(원)은 프로젝트 과정에 해외 여러 대학 관계자들과함께 모아타운 대상지 답사․워크숍․수업 참관 등을 진행하면서모아타운 계획(안)을 연구, ‘모아주택・모아타운’ 정책이 국내를 넘어국외로 소개 및 홍보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.

○ 숭실대학교는 학생 5명이 각자 1개의 대상지와 주제를 선정하여인도네시아 UPH대학교 학생과 대상지별 1:1 매칭, 답사․워크숍․그룹 강의 및 토의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수렴하고 계획과설계를 진행했다.
○ 서울대학교는 기존에 진행해 온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협력프로젝트와 이번 프로젝트를 접목, 지난 5월 열린 ‘대학협력 모아주택모아타운 프로젝트 중간발표회’에 몽골과기대 토목건축대학학과장 포함 10명의 교원이 참석하여 국내 건축․도시공학․도시계획요소 등을 배워갔다.

○ 고도지구 제한으로 개발사업이 어려운 후암동 일대를 연구대상지로 선택한 한남대학교는 독일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건축대학교수 및 학생들과 서울역․남산․용산역 등 대상지 답사, 주민참여 워크숍을 통해 현장 문제점과 아이디어를 발굴, 모아타운계획(안)의 완성도를 높였다.

□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“대한민국 건축․도시계획을이끌어갈 학생들과 함께하는 첫 프로젝트에 열정적으로 참여해주신대학에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”며 “앞으로도 모아타운 발전 모델을지속발굴뿐만 아니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들이 현장을 이해하고익힐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속 기획해 나갈 것”이라고 말했다.

 

출처: 서울시청

회신을 남겨주세요

Please enter your comment!
Please enter your name here